놀란의 야심 찬 퍼즐
테넷은 크리스토퍼 놀란의 상상력이 폭발한 영화다. 시간 여행이 아닌 시간 역행이라는 독특한 설정으로 관객을 혼란과 경이 속으로 몰아넣는다. 존 데이비드 워싱턴이 주연을 맡아 냉철한 스파이로 변신하고, 로버트 패틴슨이 능청스러운 조력자로 활약한다. 화려한 액션과 숨 막히는 반전이 얽힌 이 영화는 단순한 오락물을 넘어 머리를 풀가동하게 만드는 지적 도전이다. IMAX로 촬영된 장대한 영상미와 루드비히 요랜슨의 긴장감 넘치는 음악은 극장에서 느끼기에 최적화된 경험을 선사한다.
테넷 줄거리
테넷은 2020년 개봉한 SF 스파이 스릴러로, 크리스토퍼 놀란이 각본과 연출을 맡았다. 이야기는 키예프 오페라 하우스에서 시작된다. 주인공(존 데이비드 워싱턴)은 CIA 요원으로, 테러 작전 중 동료를 구출하려다 적에게 붙잡힌다. 고문 끝에 자살 캡슐을 삼키지만, 깨어나 보니 병원에 있다. 이 사건으로 그는 비밀 조직 "테넷"에 스카우트된다. 상관(마틴 도노반)은 "테넷"이라는 단어와 손동작을 단서로 주며, 미래에서 온 위협을 막으라고 지시한다. 주인공은 과학자 로라(클레멘스 포에시)를 만나 "시간 역행"을 배운다. 이는 엔트로피가 뒤바뀌어 물체와 사람이 과거로 흐르는 기술로, 그는 미래에서 온 역행 총알을 실험하며 개념을 이해한다.
주인공은 동료 닐(로버트 패틴슨)과 역행 물체의 출처를 추적한다. 첫 단서는 뭄바이의 무기상 프리야(디피카 파두콘)다. 그녀는 러시아 억만장자 안드레이 사토르(케네스 브래너)가 역행 기술의 핵심이라고 밝힌다. 사토르는 미래 세대와 연락하며, "알고리즘"이라는 장치를 통해 시간 흐름을 영구히 역전시켜 과거를 파괴하려 한다. 주인공은 사토르의 아내 캣(엘리자베스 데비키)을 통해 접근한다. 캣은 사토르에게 억압받으며 아들 맥스와의 시간을 잃은 상태다. 주인공은 캣과 협력해 오슬로 공항의 보안 창고를 습격한다. 여기서 역행된 적들과 싸우며, 거꾸로 움직이는 시간의 충격을 경험한다. 창고 안에는 역행 장치가 숨겨져 있고, 사토르가 이를 이용해 물체를 조작한다는 단서를 얻는다.
조사는 이탈리아 아말피 해안으로 이어진다. 사토르는 캣을 협박해 주인공을 함정에 빠뜨리려 하지만, 캣은 그의 요트에서 반격을 시도한다. 그러나 사토르가 역행된 시간 속에서 살아남아 계획을 이어간다. 주인공은 에스토니아 탈린에서 사토르의 거래를 막으려 한다. 이곳에서 역행된 차량 추격전이 벌어진다. 차는 거꾸로 달리고, 총알은 반대로 날아가며, 사토르의 부하들이 알고리즘 조각을 운반한다. 사토르는 주인공을 붙잡아 캣을 위협하며 조각을 빼앗지만, 닐이 역행 상태로 나타나 구출한다. 캣은 사토르에게 총상을 입지만, 역행된 시간 속에서 회복된다. 사토르는 베트남으로 도망쳐 요트에서 캣과 시간을 보내며 최후를 준비한다. 주인공과 캣은 사토르를 끝낼 계획을 세운다.
최종 전투는 사토르의 고향, 폐쇄된 소련 도시 스탈스크-12에서 펼쳐진다. 테넷 팀은 두 조로 나뉜다. 정방향 조는 폭발물을 설치하고, 역방향 조는 이를 해체한다. 사토르는 알고리즘을 폭발시켜 시간 역전을 실행하려 한다. 주인공은 폭탄을 해체하려 하지만, 사토르가 베트남 요트에서 캣과 대치한다. 캣은 사토르를 총으로 쏘고 요트에서 떨어뜨려 복수를 완성한다. 같은 시각, 닐은 역행된 상태로 폭발을 막고 주인공을 구하며, 자신이 미래에서 온 조력자임을 밝힌다. 그는 과거로 돌아가 희생하고, 주인공은 알고리즘을 분리해 숨긴다. 주인공은 테넷을 창설한 인물로, 미래를 지키기 위해 과거로 돌아갈 운명임을 깨닫는다. 영화는 캣이 맥스와 평온한 일상을 보내고, 주인공이 프리야를 제거하며 끝난다. 테넷은 시간과 운명의 얽힌 이야기를 그린다.
영화 의미와 평가
테넷은 시간과 운명에 대한 놀란의 집착을 극대화한다. "시간 역행"은 자유 의지와 결정론의 경계를 묻는 철학적 도구다. "일어난 일은 일어난다"라는 대사는 플롯의 복잡함 속에서도 사건의 불가역성을 강조한다. 영화는 이해를 강요하기보다 경험으로 받아들이길 요구한다. IMAX 실사 촬영과 역방향 액션은 시각적 혁신을 이루며, 보잉 747 충돌 장면은 놀란의 야심을 보여준다.
2020년 팬데믹 속 극장 개봉은 논란이 됐지만, 2억 달러 제작비로 3억 6천만 달러를 벌며 선방했다. 로튼 토마토 69%, 관객 평점 76%로 반응은 엇갈렸다. 비평가들은 개념의 독창성과 영상미를 칭찬했으나, 난해함과 서사 집중력 부족을 비판했다. 테넷은 놀란 팬을 위한 지적 퍼즐로, 반복 시청으로 매력을 발견할 수 있는 작품이다.
감독과 배우
크리스토퍼 놀란은 테넷으로 시간 개념을 또 한 번 뒤틀었다. 그는 실사 촬영에 대한 집념으로 IMAX 카메라를 활용해 압도적 영상미를 완성했다. 복잡한 이야기를 시각과 음향으로 풀어내며 관객을 몰입시킨다.
존 데이비드 워싱턴은 주인공으로 냉철함과 인간미를 조화시킨다. 그의 민첩한 액션과 묵직한 대사는 영화의 중심을 잡는다. 로버트 패틴슨은 닐로 능청스러운 매력을 발산하며, 마지막 반전에서 깊은 인상을 남긴다. 케네스 브래너는 사토르로 위협적인 악역을, 엘리자베스 데비키는 캣으로 억압 속 연약함을 섬세히 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