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픔의 끝에 구원이 있을까?
밀양은 한 여인이 아들과 함께 낯선 도시로 들어오는 장면에서 시작된다. 남편을 잃은 그녀는 새 삶을 꿈꾸지만, 또 다른 비극이 그녀를 덮친다. 이 이야기는 상실과 회복, 신앙과 인간의 나약함을 통해 삶의 의미를 탐구한다. 이창동 감독의 손에서 탄생한 이 영화는 담담한 연출과 깊은 감정으로 관객을 끌어들이며, 고통 속 희망의 실체를 묻는다. 슬픔의 끝에 구원이 있을까? 그리고 그 빛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

밀양 줄거리
밀양은 2007년 개봉한 한국 드라마 영화로, 이창동이 감독과 각본을 맡았다. 이야기는 신애(전도연)가 남편의 고향 밀양으로 이사하며 시작된다. 그녀는 교통사고로 남편을 잃었고, 어린 아들 준과 새 출발을 준비한다. 신애는 피아노 학원을 열고, 준을 학교에 보내며 평범한 일상을 꾸린다. 동네 자동차 정비소 주인 종찬(송강호)은 신애에게 호감을 느끼고, 그녀를 돕기 위해 자주 곁을 맴돈다. 그는 소박하고 순박한 성격으로, 신애의 차가 고장 났을 때부터 그녀를 조용히 챙긴다.
그러나 평온은 오래가지 않는다. 어느 날, 준은 납치되어 살해당한다. 신애는 아들의 시신을 보고 무너진다. 범인은 준의 담임교사였던 박도섭으로, 돈을 요구하며 신애를 속였다. 그녀는 죄책감과 분노에 휩싸이고, 삶의 의지를 잃는다. 종찬은 신애를 위로하려 하지만, 그녀는 그의 손길을 뿌리친다. 그러던 중, 신애는 약국에서 만난 여인의 권유로 교회에 간다. 기도와 찬송 속에서 그녀는 눈물을 쏟으며 신앙에 기대고, 점차 마음의 평화를 찾는 듯하다. 신애는 기독교 모임에 빠져들며, 종찬도 그녀를 따라 교회에 나간다. 그는 신앙보다는 신애를 지키려는 마음으로 함께한다.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은 신애가 박도섭을 면회하러 교도소로 가는 순간이다. 그녀는 그를 용서하려고 준비하지만, 박도섭이 이미 신앙으로 평안을 찾았다고 말하자 충격을 받는다. 신애는 자신이 쌓아온 구원이 무너졌다고 느끼고, 다시 절망에 빠진다. 그녀는 교회를 떠나 방황하고, 스스로 머리를 자르며 혼란을 드러낸다. 종찬은 묵묵히 그녀를 지켜보며, 신애가 자해하려 할 때 달려가 막는다. 영화는 신애가 집 마당에서 햇빛을 받으며 조용히 머리를 감는 장면으로 끝난다. 밀양의 햇살은 여전히 그녀를 비추지만, 그 빛이 구원인지 허망함인지 모호하게 남는다.
영화 의미와 평가
밀양은 상실과 구원, 신앙의 본질을 깊이 파고든다. 제목 ‘밀양’은 ‘비밀의 햇빛’을 뜻하며, 신애가 찾으려는 빛 -구원과 희망-이 과연 실재하는지를 묻는다. 이창동은 한 개인의 비극을 통해 인간 존재의 근원적 질문을 던진다. 신애는 남편과 아들을 잃고 삶의 의미를 잃었지만, 신앙을 통해 다시 일어서려 한다. 그러나 박도섭의 용서받은 평화는 그녀의 구원을 흔들며, 신앙이 진정한 치유인지, 아니면 자기기만인지 고민하게 만든다. 이 영화는 종교를 맹목적으로 찬양하거나 비판하지 않고, 인간이 고통 속에서 어떻게 의미를 찾아가는지를 담담히 보여준다.
신애의 여정은 상실에 대한 보편적 감정을 반영한다. 그녀는 아들을 잃은 어머니로서 죄책감과 분노를 안고, 신앙으로 그 무게를 덜어내려 한다. 하지만 박도섭과의 만남은 그녀에게 또 다른 상처를 준다. 그는 자신의 죄를 신에게 맡기며 평온을 찾았지만, 신애는 피해자로서 그 평온을 공유할 수 없다. 이 대립은 용서와 화해의 복잡성을 드러낸다. 종찬은 신애의 곁에서 묵묵히 버티며, 그의 존재는 신앙 없이도 가능한 인간적 연대를 상징한다. 영화는 신애가 교회를 떠난 후에도 삶을 이어가는 모습을 그리며, 구원이 반드시 종교에서 오지 않을 수 있음을 암시한다.
밀양의 풍경은 이야기의 감정선을 뒷받침한다. 도시의 평범한 거리와 교회, 교도소는 신애의 내적 혼란을 외부로 투영한다. 마지막 장면에서 햇빛은 그녀를 비추지만, 그 빛은 따뜻함과 텅 빈 느낌을 동시에 준다. 이 모호함은 관객에게 해석의 여지를 남기며, 삶의 고통과 회복이 공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밀양은 신애의 개인적 비극을 넘어, 현대인의 실존적 고민을 담아내는 보편적 이야기로 확장된다.
2007년 개봉 당시, 제작비 약 40억 원으로 국내 157만 관객을 동원하며 손익분기점을 넘겼다. 칸 영화제 경쟁 부문에 진출해 전도연이 여우주연상을 수상했고, 제44회 대종상에서 작품상과 감독상을 받았다. 로튼 토마토 93%로 해외 평단의 극찬을 받았으며, “인간 감정의 깊은 층위를 탐구한 걸작”이라 평했다. 비평가들은 연기와 연출의 완벽한 조화를 칭찬했으며, 한국 영화의 예술적 지평을 넓혔다는 평가를 얻었다.

감독과 배우
이창동은 밀양으로 인간 내면을 섬세히 파고드는 연출을 선보인다. 그는 일상적 장면에서조차 감정의 깊이를 끌어내며, 교도소 면회와 마당의 햇빛 장면에서 삶의 모순을 담는다.
전도연은 신애로 슬픔과 혼란을 절절히 표현한다. 아들을 잃은 눈물과 교도소에서의 분노는 그녀의 연기력을 증명한다. 송강호는 종찬으로 소박함과 진심을 보여주며, 신애 곁의 든든한 버팀목이 된다.